반응형
샤프 비율은 금융에서 투자성과를 평가함에 있어 해당 투자의 위험을 조정해 반영하는 방식이며, William F. Sharpe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샤프 비율은 투자 자산 또는 매매 전략에서, 일반적으로 위험이라 불리는 편차 한 단위당 초과수익을 측정한다.
초과수익률 = 명목 수익률 - 무위험수익률(보통 은행 예금 혹은 국고채 금리)
즉, 은행에 맡겼어도 나오는 수익을 뺀 실제 수익률이 바로 초과수익이라고 볼 수 있다. 은행 예금 금리가 2%인데 1년 동안 투자를 해서 5%의 수익이 났다면? 초과수익률은 3%가 되는 셈이다. 복잡한 샤프지수의 계산식보다는 샤프지수가 의미하는 것에 주목하자.
결론은 샤프지수가 클수록 좋은 투자전략 혹은 투자상품이라는 것만 기억해도 된다.
샤프 지수는 위험에 비해 얼마나 좋은 성과를 거두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지수이기는 하지만, 투자하는 자산군에 따라 절대적인 지수가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비슷한 섹터 내에서 다른 금융 상품들끼리의 비교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X 재테크 > ETF & IPO 그리고 주식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빅사이클 시대가 온다. TSMC와 같은 글로벌 반도체 회사에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 SOXX (0) | 2020.12.30 |
---|---|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골고루 투자할 수 있는 글로벌 ETF, ICLN (0) | 2020.12.09 |
[주식경제용어] CAGR, MDD 그리고 복리의 마법 feat.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0) | 2020.11.13 |
전자상거래(온라인마켓) 상승에 투자하고 '배당[분배금]'까지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ETF, ONLN (0) | 2020.11.12 |
[주식경제용어] ESG란 무엇인가?! TSK, EMC, 하이엔택 (0) | 2020.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