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500, 밸류에이션 지표 및 주요기업 EPS 추정치 변화
EPS 추정치는 최근 고점(6.23일, 239.82)대비 -1.4% 하락 후(7.29)지난주 소폭 반등
8월 5일 기준 : PER 17.5배, PBR 4.14배, ROE 23.7%(20.3.23 PER 13.4배 기록)
<미국 주요기업 P/E>
AAPL 25.8배, MSFT 27.0배, GOOGL 18.8배, AMZN 52.6배, META 12.3배, TSLA 56.5배, NVDA 32.6배
S&P 500 저점 : 3,666(22.06.16) vs 이익추정치 저점 : 236.5(22.07.29)
- 주가가 바닥을 형성하고 나서 1달 반 정도 시차를 두고 이익추정치도 바닥을 형성했을 가능성 有
이전에도?!(2018년 말, 2020년 사례)
2018년 : 주가 바닥(18.12.21), 이익전망치 바닥(19.02.15) - 약 2개월 시차
2020년 : 주가 바닥920.03.20), 이익전망치 바닥(20.05.22) - 약 2개월 시차
반응형
'X 재테크 > 시황큐레이팅 및 종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유십이TV 220810 마이크론(MU) 긴급공시, 하이닉스와 PBR 밴드 비교 (0) | 2022.08.10 |
---|---|
엔저현상과 엔화에 투자하는 방법 그리고 단점 (0) | 2022.08.10 |
상유십이TV 220809 비트코인 가격과 80% 엔비디아 주가의 높은 상관관계, NVDA 실적발표 (1) | 2022.08.09 |
증시각도기TV 210916 한국마감_삼성SDI, 너마저 물적분할?! 헝다그룹위기, 시스템리스크로 번질까? 부산가스 상장폐지결정에 상한가! 카카오 목표주가 하향! (0) | 2021.09.16 |
[주린이를 위한 꿀팁] 게임주 신작게임 다운로드 및 매출 순위 확인하는 법 사이트주소 SensorTower(센서타워) feat.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0) | 2021.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