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이은택 수석연구위원님
1980년 100으로 시작한 한국시장. 현재 2300이지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한국 증시는 40년 동안 딱 2번만 투자했으면 됐다.
A. 1986년 1989년 첫 번째 투자시기, 150포인트에서 1000포인트(88 올림픽 전, 3저 호황)
1989년부터 2003년까지 1000포인트 횡보했다.
B. 2003년부터 2007년 사이 두 번째 투자시기, 1000포인트에서 2000포인트!
그럼 우리 기업들이 2007년부터 13년 동안 성장을 하지 않았을까?
위 그래프를 보면 답은 나온다. NO! 우리 기업들은 2007년에 비해 분명히 성장했다.
우리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보단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
그럼 어떤 조건일 때 한국 증시가 강했을까?
달러가 약세일 때, 증시가 엄청난 상승(대세 상승)
한국은 수출 주도이기 때문에 달러가 약세일 때 한국 증시가 강한 건 역설적이다.
가격이 오를 수 있는지는 유동성뿐만 아니라 강한 위험선호도가 필요하다
누가(개인, 외국인, 기관) 사느냐는 두 번째 문제
그리고 대세 상승은 외국인이 주도한 것보다는 개인이 주도한 적이 많았다.
달러 약세로 새로운 유동성이 유입된 건 긍정적.
중국 위안화와 원화가 함께 움직인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3000 포인트 갈 수 있을까? 달러 약세, 원화 강세 구간에 들어선 지 아직 1년이 안됐다. 과거 대세 상승 때 이런 환율 추세는 2-3년은 지속됐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볼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원화에 대한 강한 수요(원화 강세) + 개인의 강한 위험선호도(탄력성)이다.
'X 재테크 > 시황큐레이팅 및 종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를 위한 꿀팁] 투자의 대가들이 어떤 종목을 샀는지 알 수 있는 방법(사이트), '웨일위스덤' (0) | 2020.10.20 |
---|---|
유튜브 경제 채널 삼프로TV 요약정리_20201016 현대차와 LG화학의 배터리 리스 사업 협약, 전기차 생태계 넓어진다 (0) | 2020.10.16 |
유튜브 경제 채널 삼프로TV 요약정리_20201014 실적이 흔해지면 저PER주에 관심갖자 (0) | 2020.10.15 |
유튜브 경제 채널 삼프로TV 요약정리_20201013 달러와 위안화, 외한 시장의 흐름은?! (0) | 2020.10.15 |
유튜브 경제 채널 '삼프로TV' 요약정리_20201013 원화 강세 추세 되면 국내 증시 상상이상 올라간다 (0) | 2020.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