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언급했던 투자할 때 봐야 할 세 가지
1. 무형자산
2. 금리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확실성
3. 성장
오늘 얘기하고 싶은 것은
연준과 싸우지 않기 위한 중장기 전략(=연준과 싸우지마라)
그리고 리얼옵션
ㄱ. 금리가 올라야 주가가 오를까
ㄴ. 금리가 내려야 주가가 오를까
ㄱ과 ㄴ에서 금리가 의미하는 것이 다르다.
ㄴ에서의 금리는 할인율을 의미한다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한 달 단위로, 금리를 올랐을 때 주가의 변동을 체크해봤더니, 상관관계가 51:49로 나왔다. 즉, 금리가 주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금리만으로 주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없다. 경우의 수가 많다). 금리에 따라 주가를 예상하는 것은 통념일 뿐일 수 있다.
COE = RF(금리) + ERP(심리)
ERP(Equtiy risk premium) = 자산을 주식으로 넘길 때 리스크에 대한 프리미엄
연준은 2020년에 ERP(심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왜냐하면, 코로나가 터진 후 회사채 매입하겠다고 시장에 발표.
ex. 공표 효과(Announcement Effect)
하지만 5월 보고서를 보니, 매입하지 않았지만 ERP(심리)가 안정됐다. 연준의 파워. 자화자찬.
실제로 2020년인 9월 많은 미국 회사들이 망함. 파산 신청을 한 상태. 하지만 현재 사람들의 ERP를 안정시키기 위한 연준의 노력이 돋보임.
이효석 팀장님의 시소
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
시소의 양 끝에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을 두고 생각하자.
연준의 역할은 이 시소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기 위해 관리하는 것.
2008년 연준이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정책을 잘 활용했던 것을 두고
레이달리오가 '아름다운 디레버리징' beautiful deleveraging(디레버리징, 부채 정리)'이라고 말했다.
2020년에는 디플레/인플레 시소가 더 길어졌다!
(=한쪽으로 쏠릴 위험이 더 커졌다. 관리하기 더 힘들어짐)
최근 연준이 발표한
AIT(평균물가상승률목표제)를 보면 연준이 얼마나 큰 디플레 압력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주식투자 - 잭슨홀 FED 요약 '평균물가상승률목표제(AIT)와 실업률 Shortfall 중점관리'
2020년 현재 디플레 요인
1. 유가(수요의 급감으로 인한 유가 하락)와 2. 노동시장 with AI(*모라벡의 역설)
*인간에게 쉬운 것은 컴퓨터에게 어렵고 반대로 인간에게 어려운 것은 컴퓨터에게 쉽다는 역설
이번 코로나 장에서 미국에 저임금 노동자들이 주로 실직 → 평균임금이 올라감
코로나 회복 후 저임금 노동자들 취업 → 평균임금이 내려감 → 디플레 요인
2020년 현재 디플레 악순환(=디플레 연합군이라고 표현하심)
돈을 풀면 발생하는 두 가지 악순환
㉮금리가 낮아진다.
㉯자산 가격이 상승한다.
㉮ 돈을 푼다 → 금리가 낮아진다 → 유니콘 기업과 좀비 기업들이 생긴다→ 좀비 기업들은 공급 사이드에서 봤을 때, 공급자의 수가 유지되는 것이다(제품 가격 올라가지 않음) → 디플레가 유발된다 → 디플레가 발생하므로 다시 돈을 푼다.
㉯ 돈을 푼다 → 자산 가격'만' 상승한다(경제는 좋아지지 않는다) → 양극화가 심화된다 → 디플레가 유발된다 → 디플레가 발생하므로 다시 돈을 푼다.
이 디플레이션의 연결고리를 연준의 힘으로 풀 수 있을까? 쉽지 않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AIT를 실행하는 것이 현재 시소가 디플레 쪽으로 많이 기울었다는 하나의 반증이다.
AIT를 기점으로 또 하나의 그림
'엄청난' 디플레 연합군 ↔ AIT ↔ 연준, "우리는 멈추지 않는다"
금융시장(홈경기)에서는 연준은 베스트 플레이어(ERP, 심리로 시장을 안정시킬 정도니까)였다.
하지만, 디플레 연합군과는 금융시장이 아닌 실물경제(어웨이경기)에서 연준이 어떻게 싸울 수 있을지.
확실한 것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것이다.
버블은 오지 않도록 하면서 부양은 멈추지 않을 것 = 주식시장에는 최고의 시나리오
+
리얼옵션.
ex. 복권에 대한 확률 기대값은 한 개 550원
(복권은 1,000원입니다 ㅋㅋ)
복권의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는 것은 제한적, 이득을 볼 수 있는 구간은 무한대
결론은
시장은 꺾이지 않을 것이다. 간다, 쭉 간다
특히, 성장주 위주로 간다.
최근 나스닥이 꺾였지만 그래도 간다.
다음 주 옵션 만기 변동성이 커지겠지만 결국 간다.
연준에 맞서지마라.
(굉장히 멋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