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재테크/시황큐레이팅 및 종목공부

6월 10일 FOMC 오프닝연설 보도자료 해석(2) 연준의 남은 카드 포워드가이던스와 일드 커브

방비엥달밤 2020. 6. 21. 01:55
반응형

아래 포스팅에 앞부분 해석과 FOMC 오프닝 원문자료를 첨부했습니다:)

 

 

6월 10일 FOMC Press Conference 원문 첨부 파월 오프닝연설 보도자료 해석(1)

연준은 코로나로 촉발된 지금 시기 경제를 떠받치기 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 -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의 목표를 추구 6월10일 FOMC 리뷰 파월의장 발표문을 직독직해 ...ㅎㅎ 나름 중요하다고 ��

vangviengdalbam.com

 

We will closely monitor developments and are prepared to adjust our plans as appropriate to support our goals. The Federal Reserve is also undertaking programs to provide stability to the financial system and to more directly support the flow of credit in the economy—for households, for businesses of all sizes, and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s.

→  우리는 경제상황을 면밀히 감시할 것이며 우리의 최대 고용과 물가안정을 위해 우리의 계획을 조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연준(Federal Federation)은 또한 금융시스템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가계, 모든 기업, 연방과 지방 정부를 직접적인 신용지원(유동성 공급)을 이어나갈 것이다.

 

These programs benefit the economy by providing financing where it is not otherwise available. In addition, by serving as a backstop to key credit markets, the programs can increase the willingness of private lenders to extend credit. Many of these programs rely on emergency lending powers that are available only in very unusual circumstances, such as those we find ourselves in today.

  현재 연준이 사용하는 엄청난 유동성 공급에 대한 필연성? 개연성? 부여하는 느낌.

 

We are deploying these lending powers to an unprecedented extent, enabled in large part by financial backing and support from Congress and from the Treasury.

의회와 재무부의 재정 지원과 지원 아래 우리는 전례가 없는 수준으로 유동성을 늘려가고 있다.

 

We will continue to use these powers forcefully, proactively, and aggressively until we are confident that we are solidly on the road to recovery. When the time comes, after the crisis has passed, we will put these emergency tools back in the toolbox.

우리는 우리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이러한 유덩승의 힘을 지속적이고 아주 강력히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다. 물론 모든 위기가 지나가고 나면, 우리는 이러한 유동성을 다시 거둬들일 것이다. 

*경기가 힘들지만 주가는 달리는 지금. 시장 참여자들의 가장 큰 믿을 구석이 연준의 맥시멈 에포트!(1편참조)인 상황에서 위의 파월 멘트에 시장 참여자들이 깜짝 놀랐을 수도 있을 거 같네요. 사실 지금 같인 유동성을 계속 퍼붓는 건 말이 안 되긴 하죠.

 

I would stress that these are lending powers, not spending powers. The Fed cannot grant money to particular beneficiaries. We can only create programs or facilities with broad-based eligibility to make loans to solvent entitie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loans will be repaid. Many borrowers will benefit from these programs, as will the overall economy.

→ 이런 대출의 형태가 정부지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특정 집단에게(아마도 대기업)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가계, 기업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래야만 이런 정책이 경제 전반에 효과를 줄 것이다.

 

But for many others, getting a loan that may be difficult to repay may not be the answer. In these cases, direct fiscal support may be needed. Elected officials have the power to tax and spend and to make decisions about where we, as a society, should direct our collective resources.

→ 하지만 일부 집단(가계,기업)은 이런 대출을 받기가 여의치 않을 것이며 이들에게는 직접적인 재정 지원(구제 금융)이 필요할 것이다. 공권력은 이런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The CARES Act and other legislation provide direct help to people, and businesses, and communities. This direct support can make a critical difference, not just in helping families and businesses in a time of need, but also in limiting long-lasting damage to our economy.

→ 이런 소외 계층을 위한 구제 금융은 사람들과 기업 그리고 지역 사회를 직접적으로 돕는다. 이런 정책은 한시적으로 그들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에 영구적인 타격을 주는 대미지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At this meeting, my colleagues and I continued our discussion of approaches for conducting monetary policy when the federal funds rate is at its lower bound. The measures we discussed included explicit forms of forward guidance and asset purchases; we used these tools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y have become a standard part of our toolkit.

→ 이번 FOMC에서 우리는 더 이상 금리인하의 여지가 많지 않은 현시점에서 할 수 있는 우리의 재정정책들에 대해 주로 논의했다. 이런 정책들은 지난 2008 금융위기 당시 우리가 사용해서 효과를 보았던, 포워드 가이던스 공표와 자산매입을 의미한다. (마이너스 금리는 논외로 하고, 현재 인하된 금리 시점에서 연준의 남은 카드 포워드 가이던스와 자산매입. 여기서 자산이 국채가 아닌 회사채를 의미하는 걸까요?)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는 선제 안내, 향후 지침이란 뜻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중앙은행(연준)의 미래 정책 방향을 외부에 알리는 조치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지난해 8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13년 말까지 미국의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 rate)를 제로(0)%로 유지하겠다고 공표한 것을 들 수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에 미국의 실업률이 6.5%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앞으로 1~2년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2.5%를 넘지 않는 한 금리를 인상하지 않겠다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제시하기도 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We also reviewed the historical and foreign experience with targeting interest rates along the yield curve. Whether such an approach would usefully complement our main tools remains an open question. 

수익률 곡선을 따라 금리 타겟팅에 대한 역사·외국의 경험도 살펴봤다. [일본 중앙은행이 2016년 마이너스 금리로 국채 금리가 급격히 하락하고 경기 침체 우려가 심해지자 수익률 곡선 제어 정책(Yield Curve Control)을 실시했다.] 물론 이것을 시행할지 어떻게 할지는 계속 논의를 해봐야 한다.

 

만기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은 만기에 따른 채권 이자율을 이어서 곡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장단기 국채의 이자율 차이라고 볼 수 있다.

 

We will continue our discussions in upcoming meetings and will evaluate our monetary policy stance and communications as more information about the trajectory of the economy becomes available. We also resumed our regular quarterly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 or the SEP. The SEP is an input into our deliberations, not an outcome, and it does not represent a Committee view. Rather, FOMC participants write down their individual views of the most likely path for the economy, conditional on each participant’s view of appropriate monetary policy. We tabulate those submissions and we publish them as the SEP. Given the unusually high level of uncertainty about the outlook, many participants noted that they see a number of reasonably likely paths for the economy, and that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with confidence a single path as the “most likely” one. Nonetheless, we believe that regular publication of the SEP provides a useful perspective on the way FOMC participants are assessing the path ahead. What the June SEP shows is a general expectation of an economic recovery beginning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lasting over the next couple of years, supported by interest rates that remain at their current level near zero. Of course, my colleagues and I will continue to base our policy decisions on the full range of plausible outcomes, and not on a particular forecast. This riskmanagement approach is the best way we can promote our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 in these unusually uncertain circumstances.

→ SEP. 경제성장 전망. FOMC 연준의 정기보고서를 칭하는 듯. 후반기까지도 물론이고 향후 2년(2022년까지 지) 현재의 제로금리가 계속 유지되며 경제를 지원할 것이다. 이것이 현재의 비정상적이고 불확실한 시국에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우리의 목표를 이루게끔 하는 최선의 위험 관리방법이라고 본다.

 

Finally, I want to acknowledge the tragic events that have again put a spotlight on the pain of racial injustice in this country. The Federal Reserve serves the entire nation. We operate in, and are part of, many of the communities across the country where Americans are grappling with and expressing themselves on issues of racial equality. I speak for my colleagues throughout the Federal Reserve System when I say there is no place at the Federal Reserve for racism and there should be no place for it in our society. Everyone deserv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fully in our society and in our economy. These principles guide us in all we do, from monetary policy, to our focus on diversity and inclusion in our workplace, and to our work to ensure fair access to credit across the country. We will take this opportunity to renew our steadfast commitment to these principles. We understand that the work of the Fed touches communities, families, and businesses across the country. Everything we do is in service to our public mission. We are committed to using our full range of tools to support the economy and to help assure that the recovery from this difficult period will be as robust as possible.

→마지막에는 처음 시작할 때 언급했던 최근 미국 내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인종차별 문제를 다시 언급. 연준의 소명. 연설 내내 말했듯이 마지막에도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뭐든지 다 하겠다."라는 멘트로 마무리했다.

 

슈퍼 파월

 

6월 FOMC 리뷰 끝!

오랜만에 해석을 하니... 쉽지 않은데 차곡차곡

다시 영어 공부하는 느낌으로

원문은 이전 포스팅에 첨부해두었습니다^^

 

2022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양적완화 지속)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포워드 가이던스나 Yield Curve까지 쓰겠다. 그리고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마이너스 금리도 있으니...!

그래도 아직 중앙은행의 주머니에 카드가 더 있다는 것을 힘줘서 얘기하며 경제주체들을 안심시키려 노력했던 6월 FOMC였던 것 같네요.

반응형